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외식조리학과

Dept. of
Food Service & Culinary

식품산업의 새로운 변화와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미래 외식산업 발전을 선도하는 외식산업지도자의 양성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X

1.55도 오른 지구 온도, 175년 만에 가장 뜨거웠다

  • 슈퍼맨
  • 0
  • 25
  • Print
  • 글주소
  • 2025-03-20 18:39:55
<a href="https://beautyguide.co.kr/fixed/" target=_blank" rel="noopener dofollow" title="결혼박람회" id="goodLink" class="seo-link">결혼박람회</a>지난해가 ‘가장 뜨거운 해’가 된 이유에 대해 세계기상기구는 “주로 온실가스 배출의 지속적인 증가와 냉각 현상인 라니냐에서 온난화 현상인 엘니뇨로의 전환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a href="https://beautyguide.co.kr/fixed/" target=_blank" rel="noopener dofollow" title="2025결혼박람회" id="goodLink" class="seo-link">2025결혼박람회</a> 지난해 지구 평균 온도가 1.55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2024년은 지구 기온이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를 초과한 첫 해로 기록됐다.

세계기상기구(WMO)는 19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4년 전 지구 기후 현황 보고서 최종본’을 발표했다. 보고서를 보면, 2024년 전 지구 평균 온도는 산업화 이전(1850~1900년)에 견줘 1.55(±0.13)도 높았다. 이는 175년 관측 사상 가장 높은 기록이다.

다만 1.5도를 한 해 초과했다고 해서 파리협정에 명시된 1.5도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파리협정에서 지구 온난화 수준을 정의하는 공식적 합의 방식은 없지만,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의 6차 평가보고서(AR6)에서는 지구 기온 상승 폭을 ‘20년 평균으로 계산한다’고 정의한다. 세계기상기구는 이번 보고서에서 “현재 장기적인 지구 온난화는 1.34~1.41도 사이로 추정되고 있다”고 밝혔다. 장기적으로는 아직 1.5를 초과하지 않은 셈이다. 안토니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장기 지구 온도 수준을 1.5도 이하로 제한하는 것은 아직 가능하고, 올해 예정된 ‘2035 국가기후계획’(NDC)을 통해 전세계가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captcha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