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외식조리학과

Dept. of
Food Service & Culinary

식품산업의 새로운 변화와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미래 외식산업 발전을 선도하는 외식산업지도자의 양성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X

술적 퇴보냐 미래 대비냐 가나푸라키카

  • 겸상비
  • 0
  • 45
  • Print
  • 글주소
  • 2025-03-18 13:55:02
<a href="https://beautyguide.co.kr/fixed/" target=_blank" rel="noopener dofollow" title="웨딩정찰제" id="goodLink" class="seo-link">웨딩정찰제</a>이 과정에서 '2032년 달 착륙선 발사'를 포함한 1~3차 발사의 경우 1단 엔진에만 재사용 기술을 적용한 소모 발사체로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2030년대 중반 여러 차례 반복발사를 통해 1단 재사용 기술을 확보하고 이후 완전 재사용발사체를 확보할 계획이다

<a href="https://beautyguide.co.kr/fixed/" target=_blank" rel="noopener dofollow" title="결혼정찰제" id="goodLink" class="seo-link">결혼정찰제</a>이 같은 우주청의 계획은 차세대발사체 개발사업의 예산을 대폭 늘리지 않아도 돼 개발 속도를 늦추지 않으면서도 재사용 발사체를 2030년대에 확보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차세대발사체 개발사업은 지난 2022년 11월 예타를 통과했다. 총 사업비가 15% 이상 증가하면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를 받아야 한다. 우주청은 차세대발사체에 들어가는 엔진과 탱크도 1종류로만 만들어 개발 기간을 더 단축시킬 예정이다.

차세대발사체 개발사업 내용을 큰 틀에서 변경하지 않는 방법이기도 하다. 당초 예타 통과 때부터 차세대발사체는 일회용으로 개발되고 재사용 기술을 '일부' 개발하는 계획이었기 때문이다. 재사용 기술을 개발하는 계획이 사업 내용에 이미 포함돼 있어 차세대발사체의 재사용 전환이 사업 내용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중요한 점은 우주청이 예타 보고서에 명시된 100톤(t)급 케로신 기반의 다단연소사이클 엔진 개발 내용을 변경하는 방향으로 차세대발사체 개발사업 변경을 검토한다는 점이다. '폐쇄형 사이클'이라고도 불리는 다단연소사이클은 터보 펌프가 작동할 때 나오는 배기가스를 다시 연소기에 넣어 재활용할 수 있는 엔진이다. 누리호에는 배기가스를 터빈을 돌려 배기구를 통해 밖으로 보내는 개방형 사이클 엔진이 적용돼 있다.

다단연소사이클 엔진은 버려지는 가스를 다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개방형 사이클 엔진보다 효율성이 약 10% 좋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먼 거리를 비행하기 위해 필수적인 기술이다. 대형 다단연소사이클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결정한 국가전략기술이기도 하다..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captcha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