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외식조리학과

Dept. of
Food Service & Culinary

식품산업의 새로운 변화와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미래 외식산업 발전을 선도하는 외식산업지도자의 양성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X

생일답례품

  • 박진주
  • 0
  • 90
  • Print
  • 글주소
  • 2025-03-06 20:51:44
<a href="https://mangogift.co.kr/" target=_blank" rel="noopener dofollow" title="생일답례품" id="goodLink" class="seo-link">생일답례품</a>부산 해운대구 달맞이길 메종드카린에서 열리는 ‘달빛정원’ 전시를 보며 앞서 열거한 생각이 떠올랐다. 김상열 회화 작가와 신철 도예 작가 2인전으로 구성한 이 전시는 굉장히 감성적이다. 전시 제목인 ‘달빛정원’은 이 전시의 느낌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단어이다. 보름달이 뜬 밤, 조용한 정원을 산책한다고 상상해보자(물론 이 정원은 안전한 곳이다). 그때 느껴지는 부드럽고 포근하고 편안한 기분, 메종드카린의 현재 전시가 주는 감동이 그렇다.
<a href="https://mangogift.co.kr/" target=_blank" rel="noopener dofollow" title="홍보물" id="goodLink" class="seo-link">홍보물</a>
작가는 “시간의 흐름, 공간의 무한성을 상징하기 위해 파동 같은 산 형태가 나왔다. 작품을 보며 자연 속에서 명상하는 듯한 느낌이 들면 좋겠다”라고 설명했다.

<a href="https://mangogift.co.kr/" target=_blank" rel="noopener dofollow" title="홍보물제작" id="goodLink" class="seo-link">홍보물제작</a>카린 갤러리 바닥은 신철 작가의 달항아리가 마치 아담한 정원에 드문드문 핀 꽃처럼 놓여있다. 큐레이터는 갤러리 바닥에 작은 돌을 쌓아서 정원 일부를 재현했다. 신 작가의 항아리는 원래 그 자리에 있었던 것처럼 자연스럽게 배경과 섞였다. 일반적으로 도예 전시는 좌대 혹은 탁자 위에 도자기가 놓이는데 좀 더 다른 느낌으로 관객에게 다가서고 싶어 색다른 전시 배치를 시도했다신 작가는 40여 년간 흙과 불을 탐구했고 오랜 세월을 버티며 국내에서 달항아리를 만드는 대표 작가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다. 미술 컬렉터들은 작가마다 달항아리의 선과 색이 확연히 다르다고 말한다. 신 작가는 평생 장작가마로만 작업했다. 100개를 만들면 겨우 1~2개 정도만 건질 정도로 굉장히 어려운 길이지만, 자신만의 분명한 미의식에 따라 완성도 높은 달항아리만을 고집한다.

신 작가는 “달항아리를 만들 때마다, 사유와 성찰을 통해 선조의 미의식에 접근해 가고 있다. 과거부터 지금까지 관통하는 메시지인 ‘겉치레에 매몰되지 않고 순수하고 큰 마음으로 서로를 품는다’라는 문장을 늘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이 전시는 9일까지 열린다. 메종드카린은 순수미술부터 공예 인테리어까지 모두 다루었던 알앤씨갤러리의 새 이름이다..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captcha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