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외식조리학과

Dept. of
Food Service & Culinary

식품산업의 새로운 변화와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미래 외식산업 발전을 선도하는 외식산업지도자의 양성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X

청주웨딩박람회

  • 아이스맨
  • 0
  • 90
  • Print
  • 글주소
  • 2025-03-03 19:56:05
<a href="https://beautyguide.co.kr/cheongju/" target=_blank" rel="noopener noreferrer" title="청주웨딩홀" id="goodLink" class="seo-link">청주웨딩홀</a>스틸 영’이란 문구는 위스키에도 사용되고 있다. 책에서 가장 먼저 다루는 아드벡 증류소의 위스키 이름이다.

박 작가에 따르면 아드벡 증류소는 1998년에 2008년을 목표로 장기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먼저 1998년에 증류한 위스키를 2004년까지 숙성시켜서 6살짜리 위스키를 출시했다. 이름은 ‘베리 영’(Very Young).

그로부터 2년 후 같은 원액을 더 숙성시켜 6살짜리 두 번째 위스키를 내놨다. 바로 ‘스틸 영’이다.

<a href="https://beautyguide.co.kr/cheongju/" target=_blank" rel="noopener noreferrer" title="청주웨딩박람회" id="goodLink" class="seo-link">청주웨딩박람회</a>아드벡 증류소는 또다시 1년 후에 9살짜리 ‘올모스트 데어’(Almost There), 2008년에 ‘아드벡 르네상스’(Ardbeg Renaissance)를 선보이며 10년간의 대장정을 마무리했다.

책에는 이처럼 위스키와 증류소, 그리고 박 작가와 관련된 이야기가 담겨 있다. 아일라 위스키, 스페이사이드 위스키, 블렌디드 위스키, 일본 위스키, 미국 위스키까지 크게 5개로 분류한 뒤 각각 위스키와 문화, 역사 등을 이야기한다.

“포브스코리아에서 월간으로 위스키를 중심으로 다양한 주제를 이야기합니다. 2023년에 시작했는데, 그렇게 연재했던 내용 중 재미있거나 의미가 있는 내용 등을 책으로 엮은 거지요.”

박 작가는 “아직 책으로 담고 싶은 이야기들이 많이 있다”며 “조만간 ‘위스키, 스틸 영 2’를 내놓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a href="https://beautyguide.co.kr/cheongju/" target=_blank" rel="noopener noreferrer" title="청주웨딩스튜디오" id="goodLink" class="seo-link">청주웨딩스튜디오</a>그렇게 위스키에 진심인 박 작가에게 위스키의 매력에 대해 물었다. 그는 “마시는데 번거롭지 않고, 임팩트 있게 즐길 수 있는 술이고, 무엇보다 맛과 향이 좋다”고 말했다.“증류주라고 하면 보드카처럼 순수한 걸 많이 강조합니다. 무색무취죠. 소주도 마찬가지고요. 하지만 위스키는 증류주이지만 숙성이라는 것을 합니다. 거의 유일한 술이죠. ‘숙성의 맛’, 그게 위스키의 매력인 것 같습니다. 다른 술에서 느껴보지 못했던 그 어떤 것이 위스키에 있습니다.”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captcha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