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외식조리학과

Dept. of
Food Service & Culinary

식품산업의 새로운 변화와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미래 외식산업 발전을 선도하는 외식산업지도자의 양성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X

미니손선풍기

  • 이택조
  • 0
  • 147
  • Print
  • 글주소
  • 2025-02-05 01:27:11
<a href="https://mangogift.co.kr/new/shop/detail.php?code=2306439" target=_blank" rel="noopener noreferrer" title="미니손선풍기" id="goodLink" class="seo-link">미니손선풍기</a>고령화, 절대인구 감소라는 구조적인 난제 속에 ‘공동영농모델’이 농업 생산성을 향상할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현장에서는 공동영농을 이끌 ‘주체’를 숙고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지역의 농업환경에 대한 통찰과 지역민의 신뢰를 얻는 주체를 발굴·육성해야 공동영농이 안착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12월 내놓은 ‘농업·농촌 혁신 전략’에서 법인 중심으로 공동영농모델을 확산하겠다고 밝혔다. 추진방안으로 공동경영체 지원사업 확대가 언급됐다. 농업법인 등에 교육, 컨설팅, 농기계류, 시설·장비 등을 보조하는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지원사업’이 대표적이다. 이 사업은 공동경영체당 최대 10억원을 지원한다.
<a href="https://mangogift.co.kr/new/shop/detail.php?code=2106219" target=_blank" rel="noopener noreferrer" title="초소형선풍기" id="goodLink" class="seo-link">초소형선풍기</a>
공동영농 성공 모델로 꼽히는 경북 영덕 팔각산친환경절임배추영농조합법인(이하 팔각산영농법인)의 백성규 대표(62·사진)는 “사업이 확대되면 단순히 농기계 구입 등 지원을 노린 경영체가 생길 것”이라며 ‘될 사람’을 선별·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백 대표는 지난해 6월 지원사업에 선정돼 공동영농에 나섰다. 영덕군 달산면의 30여농가가 20.5㏊ 농지에서 가을배추를 재배하며 첫발을 뗐다.

<a href="https://mangogift.co.kr/new/shop/detail.php?code=2306439" target=_blank" rel="noopener noreferrer" title="미니소형선풍기" id="goodLink" class="seo-link">미니소형선풍기</a>이 농사로 12월25일에는 참여농가들에게 3.3㎡(1평)당 3000원씩 배당했다. 최대 1800만원을 받은 농가도 있다. 백 대표는 “올해는 하반기까지 50㏊로 규모를 확대해 상반기에는 콩과 봄배추, 하반기에는 가을배추 등 이모작을 본격적으로 펼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captcha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