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외식조리학과

Dept. of
Food Service & Culinary

식품산업의 새로운 변화와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미래 외식산업 발전을 선도하는 외식산업지도자의 양성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X

심장근육 두꺼워지는 ‘비후성 심근증’에 혈당강하제 SGLT2 효과적

  • 김이나
  • 0
  • 173
  • Print
  • 글주소
  • 2025-01-02 15:33:12
<a href="https://mangogift.co.kr" target="_blank" id="findLink">usb</a>심장근육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지는 질환인 ‘비후성 심근증’에 혈당강하제인SGLT2 억제제가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순환기내과 정미향(제1저자)·대전성모병원 심장내과 조정선 교수(교신저자) 연구팀은 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해 총 8066명의 비후성 심근증 및 당뇨병 환자 중 SGLT2 억제제를 처방 받은 2277명과 다른 당뇨약을 처방받은 5789명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27일 밝혔다.

<a href="https://mangogift.co.kr" target="_blank" id="findLink">usb제작</a>비후성 심근증은 심장 근육이 15㎜ 이상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지는 질환으로, 대표적인 유전성 심질환 중 하나다. 환자의 약 40∼60%에서 유전자 이상이 발견되며, 가족 선별 검사가 중요하다. 이 질환은 급성 심장사, 심실성 부정맥, 심방세동 등 부정맥 위험을 높이고, 비후된 심장으로 인해 심장의 유연성이 감소하면서 심장이 정상 기능을 못 하는 심부전 위험이 증가할 수 있어 주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현재 비후성 심근증의 치료는 주로 베타차단제나 칼슘채널차단제와 같은 일반적인 약제에 의존해 왔다. 최근에는 비후성 심근증에 특화된 마이오신 차단제가 도입되었으나, 이는 폐색성 비후성 심근증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a href="https://mangogift.co.kr" target="_blank" id="findLink">답례품</a>SGLT2 억제제(다파글리플로진·엠파글로플로진 등)는 심부전 환자에서 생존율을 향상시키고 심부전 악화로 인한 입원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입증돼 당뇨병 여부와 상관없이 심부전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일부 연구에서 SGLT2 억제제가 부정맥 위험을 낮춘다는 결과도 보고되었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 비후성 심근증 환자는 배제되었기 때문에, 비후성 심근증에서 SGLT2 억제제의 효과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a href="https://mangogift.co.kr" target="_blank" id="findLink">답례품제작</a>이번 연구 결과 SGLT2 억제제 사용은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및 심부전 악화로 인한 입원의 위험을 약 24%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 44%, 심부전 입원 위험 18%, 급사의 위험 50%, 뇌졸중 위험 26% 감소했으며 이런 효과는 성별 및 심방세동 여부와 관계없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captcha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