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외식조리학과

Dept. of
Food Service & Culinary

식품산업의 새로운 변화와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미래 외식산업 발전을 선도하는 외식산업지도자의 양성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X

서울 민간 산후조리원 2주 특실에 764만원…전국 평균보다 51% 비싸

  • 근육맨
  • 0
  • 213
  • Print
  • 글주소
  • 2024-12-27 02:44:35
<a href="https://mangogift.co.kr" target="_blank" id="findLink">망고기프트</a>서울시 산후조리원 이용 요금(2주 기준)이 전국 평균 대비 최대 1.5배 비싼 것으로 집계됐다. 조리원 10곳 중 7곳은 요금 고지 의무를 준수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는 서울 시내 전체 민간산후조리원 110개소 대상으로 실시한 제공서비스 및 요금 실태조사 결과를 26일 공개했다.

<a href="https://mangogift.co.kr" target="_blank" id="findLink">텀블러</a>2주 기준 이용요금은 일반실이 평균 478만 원, 특실이 평균 764만 원이었다. 전국 대비 일반실은 38%(전국 평균 347만원), 특실은 51%(전국 평균 504만원)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 110곳 모두 유료부가서비스 제공 중이었다.

<a href="https://mangogift.co.kr" target="_blank" id="findLink">텀블러제작</a>모자보건법에서는 산후조리원 서비스의 내용과 요금체계, 중도해약 시 환불기준을 해당 산후조리원 및 인터넷홈페이지 등에 게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실태조사에서 마사지 등 유료부가서비스의 세부내용과 비용을 산후조리 누리집 등에 공개한 곳은 전체의 34.8%에 불과했다.

<a href="https://mangogift.co.kr" target="_blank" id="findLink">우산</a>시는 “산후조리원 이용자들의 57%가 웹사이트를 통해 정보를 얻는 만큼 홈페이지에 서비스항목, 요금체계, 환불기준 등을 공개하는 것은 필수적”이라며 “마사지 등 유료부가서비스 가격 상담 시 기본요금·추가요금을 정확하게 안내하지 않는 사례도 다수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captcha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